날씨가 꾸리꾸리하다.
이런 날일수록 따끈한 차 한잔 생각이 더 난다.
오늘 고른 녀석은 호야님이 보내주신 루피시아의 다즐링.
어제는 오랜만에 벳쥬만 앤 바통의 다즐링을 마셨었는데
두 녀석은 과연 어떤 맛의 차이가 있을까 비교해보고 싶었기 때문.



노릇노릇 골드 팁이 제법 많이 섞여 있었다.
벳쥬만의 다즐링보다 더 골드팁이 많고, 잎은 더 큰 편이다.



찻잎의 양이 2그램이 조금 넘을 듯해서 
물은 200밀리 정도만 붓고 티포원에 3분을 우렸다.
뜨거운 물을 붓는 순간 떫은 향이 올라와서 조금 긴장....;;

티포원은 잔을 따로 찾지 않아서 편한데
잔 바꿔 마시는 재미에 살다 보니
오히려 찾아 쓰기가 귀찮아서 구석에 처박혀 있게 된다.



근데..... 어째 색이 밍밍한 보리차에 가까운 색이 나왔다.
홍차라는 이름에 맞는 아리따운 붉은빛은 어디로????;;;

어쨌든 향을 맡아 봤다.
벳쥬만과는 다른 향이 피어오른다.
벳쥬만의 다즐링 향이 가향차를 떠올릴 만큼 상큼하고 감각적이라면
루피시아의 다즐링은 부드럽고 쿠키 향을 연상시키는 고소함이 느껴진다.

맛에서도 차이가 났다.
벳쥬만 쪽이 더 진하고 혀에 닿는 감칠맛이 있달까?
확실히 클래식티도 루피시아는 밝고 가볍다.
왜 항상 루피시아 차의 안내서에 물을 110~120밀리만 붓고 우리라는지 알 것 같다.
그럼 차 200밀리 마시려면 찻잎을 5g이나 넣어야 한단 말인가!!!
뭐... 이 맛도 좋으니 난 계속 내멋대로 마시련다 결심...;;;



이게 바로 어제 마셨던 벳쥬만 앤 바통의 다즐링.
색깔 면에서도
향기 면에서도
루피시아보다 더 후한 평점을 주고 싶은 차.
사실 아직까지 벳쥬만보다 더 맛있다고 생각되는 다즐링은 마셔보지 못했다.

그래도.. 점점 다즐링이 좋아진다.
오래도록 마셔봐야 그 인상을 알 수 있다는 말처럼
이제 어렴풋이 다즐링의 실루엣이 잡히는 그런 기분이랄까?
자, 앞으로 또 어떤 다즐링을 만나게 될까? ^^
Response : ,




캬~~
어째서 냥이들은 하는 짓이 이다지도 아방하고 귀엽노~ ㅡㅠㅡ
마침내 트리플을 넘어서 오연타를 날렸으니..ㅋㅋㅋㅋ

게다가 서 있는 폼이라니..
삼색 몽구스가 탄생한 것 같다... ㅎㅎㅎㅎ
Response : ,


영화관에 상영된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부터 보고 싶던 영화였다.
원래 다큐멘터리를 좋아하기도 하지만,
극장판 다큐는 TV판보다 영상미와 절제미가 뛰어나서 감동의 차원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다큐멘터리는 함께 보러 갈 사람 찾기가 쉽지 않다 보니
어느새 보러 갈 기회를 놓쳐버렸다. ㅜ.ㅡ

"보고 싶은 건 극장에서 본다"가 내 신념이지만
어쩔 수 없이 동생 PMP로 보게 되었다.



극장에서는 장동건이 내레이션을 맡아서 했는데 이게 별로였는지 말들이 많았다.
내레이션이 거슬려서 몰입을 방해했다고도 하고,
화질이 좋지 않아서 극장서 보기 아깝다는 말도 있었다.
그래서 한편으로, 극장 가서 안 보길 잘했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영화에 대해 재미가 없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내 생각을 말하자면,
과연 지구라는 곳이 재미있게 보여져야 하는 곳일까?
라고 반문하고 싶어진다.

재밌고 유쾌하고 싶다면
해피 엔딩 결말의 유쾌한 동물 영화를 한 편 보는 게 낫다.
그 속에는 허구와 이상의 세계를 보고 싶은 욕망이 있다.
하지만 다큐멘터리는 그게 아니다.
이상을 촉구하기 위해 현실을 직시하자는 목소리를 담는 게 다큐멘터리다.

개를 사랑하는 인간과,
인간을 사랑하는 개가 서로 만나 알콩달콩 행복하게 사는 건
카메라 밖의 개들을 잘라버린 채 해피엔딩을 꿈꾸는 드라마다.
따뜻한 보금자리에서 인간과 함께하는 행복한 개도 보여주면서
기르다가 버려져서 동물보호소에 끌려가 안락사당하고,
보신탕용으로 사육되는 개의 비참함을 같이 보여주는 건 다큐멘터리다.

진실은 결코 재미있을 수가 없고
이렇게나 불편한 것이다.
편하지 말자고,
주위의 불편한 진실에서 눈돌리지 말자고 제작하는 것이 다큐멘터리다.



아름다운 지구.
맞다.



사랑스럽고 귀여운 동물들.
맞다.


그러나 지구는 아름답기만 한 것도 아니고,
동물은 인간의 눈을 즐겁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형이 아니다.

지구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그 속에서 모든 동식물들은 매순간마다 목숨을 걸고 필사적으로 살고 있다.
여기에 인간으로 인한 환경 파괴까지 더해지면서
이제는 종의 멸절이 예상되는 지점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것이 바로 <지구>의 이야기다.




Response : ,

« Previous : 1 : ···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 : 139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