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2. 서삼릉에서

Posted 2008. 5. 1. 22:15, Filed under: 끄적끄적 후기

2. 서삼릉에서


이번 중국 유학생들의 난동 사건이며,
광우병 이야기며, 미국의 역사까지 들먹이며 한참 열을 내다보니
어느덧 도중에 네번째 이정표인 허브랜드를 지나고
마침내 서삼릉에 도착.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서삼릉이란 서쪽에 있는 3개의 능이란 뜻이란다.
동구릉은 동쪽에 있는 9개의 능이란 뜻이고.
참으로 작명 한번 간단하네.. ^^
덕분에 외우기는 쉽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곳에는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의 능인 희릉,
중종의 아들이자 문정왕후에 의해 독살되었다고 일컬어지는 인종의 능인 효릉,
강화도령으로 유명한 철종의 능인 예릉의 3릉과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난 사도세자의 맏아들 의손세손의 묘(의령원),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인질로 잡혀갔다가 돌아와 독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현세자의 묘(소경원),
정조의 맏아들이었던 문효세자의 묘(효창원)  등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끊고 들어서니
아늑한 숲길이 우리를 반긴다.

입장료가 천원이면 비싸지 않다.
일본을 돌아보고 오면 더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입장료를 더 올려야 한다는 건 아니다.
서비스 개선을 이유로 늘 올려받고도 달라질 것 없는 우리 사회의 행태를 보면 더욱 그렇다.
돈이 부족해서 관리를 못 하는 게 아니라,
애시당초 제대로 된 관리를 못하는 체계와
그 이전에 유적지를 가꾸고 사랑하는 마음이 문제인 거겠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뭔가 가득 달려서 보니 솔방울이다!!

솔방울을 보니 내가 좋아하는 동시가 생각났다.

        다람 다람 다람쥐
        알밤 줍는 다람쥐
        보름 보름 달밤에
        알밤 줍는 다람쥐.

        알밤인가 하고
        솔방울도 줍고
        알밤인가 하고
        조약돌도 줍고.
                     
김소월 못지않게 가락 살리기로 유명한 박목월의 동시...
가락도 가락이지만
저 생생하게 떠오르는 달밤의 장면이라니~!!
달빛에 비쳐가며 알밤을 줍는 다람쥐의 모습을 상상하면 너무 귀엽~~ >0<
(또 샜다... -_-;;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전히 눈길을 끄는 아름다운 꽃과 나무의 곁을 지나~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윽고 효창원과 의령원을 설명하는 안내판이 나왔다.

왕과 왕비의 무덤은 '능'이라 하고,
왕세자나 왕세자비, 세손 내외, 왕의 생모나 친아버지이면서
후궁이거나 왕위에 오르지 못었던 이들의 무덤은 '원'이라고 한단다.
그 외의 왕자, 공주, 옹주나 일반인의 무덤은 '묘'라고 하고....
이런 것도 처음 알았으니 참으로 무식의 소치랄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효창원과 의령원의 전경.
건물 뒤로 두 개의 무덤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이 사당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정조의 아들인 문효세자와
사도세자의 제1세자인 의소세손의 위패가 모셔져 있겠지만,
아이 때 죽으면 제사를 지내지 않는 우리나라 풍습상
세자나 세손이라도 제사는 지내지 않았을 것 같다.

요즘 왕위를 이을 세자가 없어서 골머리를 앓는 드라마 <이산 정조>.
정조가 사랑하는 여인으로 나오는 송연이가 바로 의빈 성씨로
그녀가 아들을 낳으니 이가 바로 문효세자이다.
하지만 다섯 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만다.

또, 사도세자의 부인인 혜경궁 홍씨의 첫 아들인 의소세손.
이 역시 세 살의 나이에 세상을 떠나고 만다.
그러니 이 묘들은 어리디 어린 왕자들의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당 옆에 세워져 있는 묘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당을 지나면서 무덤을 자세히 보러 사초지를 밟고 올라갔다.

봉분(볼록하게  올린 무덤의 흙) 주위에 풀이 잔뜩 깔린 잔디 언덕을 사초지라고 하는데,
원래는 관람객이 사초지를 밟으면 안 된다고 한다.
당시엔 몰랐거니와
별도로 울타리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허용하고 있는 듯.

아이들의 무덤이라고 밟는 것을 허용하는 건가?
생각해보니 철종의 무덤인 예릉과 장경황후의 무덤인 희릉은
사초지에 들어가지 못하게 울타리가 쳐져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앞에 자리잡은 효창원.
뒤에 의소세손의 무덤인 의령원이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뒤쪽에 자리잡은 의령원.
세손의 무덤이라 세자의 무덤과 차이가 있는지 더 간소하다.
봉분도 더 낮고 혼유석(묘 앞의 네모 반듯한 돌.. 혼이 노니는 자리라고 한다.)도 차이를 두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지금에야 눈에 들어오는 묘비의 모양.
왕과 왕비의 비석에는 집이 있다.
이걸 비각이라고 하는데,
아기 세손과 세자의 무덤에는 비각이 없다.

그런데 그 앞의 저 여의봉 같은 기둥은 무얼까?? (갸웃~)



사용자 삽입 이미지
봉분 주위의 석상들.
엉덩이를 보이는 이 석상은 말일까? 꼬리를 보니 말 같고,
저쪽은 호랑이인가?
찾아보니 호랑이, 양, 말 같은 동물들을 깎아 세워서 능을 수호하게 한다고 한다.
고등학교 때 저 위에 올라가서 사진 찍고 놀았던 기억에 부끄... -///-

그런데 저렇게 인물상이 세워져 있는 건 처음 보는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양이 세워져 있네.. 훗훗
양이 무슨 힘이 있을까마는 12지신 중의 하나인 때문이겠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발길을 돌려 철종과 왕비인 철인왕후가 묻혀 있는 예릉으로 향했다.
멀리서도 사초지 주위에 울타리가 쳐 있는 게 보인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예릉에 대한 안내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곳에서 운좋게 우리나라 역사와 건축에 해박한 할아버지를 만나
여러가지 설명을 들을 수가 있었다.
저 정자각 지붕의 양식이 맞배지붕이란다.
*  맞배지붕 : 건물의 모서리에 추녀가 없이 용마루까지 측면 벽이 삼각형으로 된 지붕.
정확하게 맞배지붕의 의미를 알 수가 없어 국어사전을 찾아보니 이렇게 나와 있는데,
역시 건축에 대한 이해는 잘 못 하겠다.

능 앞의 제사 지내는 저 건물을 정자각이라고 부른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우물 정자처럼 생겼다고 부르는 이름인데,
건물을 옆에서 보면 이해가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묘비석을 보관하고 있는 비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처롭게 쓰러져 있는 홍살문.
이건 왜 이렇게 삐꾸인가..했는데 넘어지려고 하는 걸 뒤의 나무가 빋치고 있었다.

할아버지 말씀이,
저 홍살문은 귀신이 드나드는 문이어서 일반인은 저리로 드나드는 게 아니라고 했다.
능의 입구를 표시하는 동시에
잡귀를 쫓는 구실을 한단다.
홍살문이 저래서야 잡귀는 이미 수시로 드나들겠다 싶었다. 씁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옆에서 본 정자각의 모습.
이렇게 옆에서 봐도 앞에서 본 거랑 똑같이 생겼다.
길게 정면 지붕이 나왔으니 위에서 보면 우물정 자처럼 되는 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와 밑으로 드리운 저 둥근 나무 장식이 예쁘고 특색있어 보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철종과 철인왕후의 봉분이 사초지에 가려져서 보이질 않았다.
저 멀리 조그맣게 석상만  보이는 것이 철종의 비인 철인왕후의 능인가?
왕은 왼쪽, 왕비는 오른쪽에 묻는다는데
그게 능을 쳐다보는 방향에서인지 헷갈린다.. -_-;;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잘 안 보여....;;;
줌인해서 찍었더니 흐릿하구먼....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어진 참도.
참도에 대해서는 아래 희릉 사진에서 다시 언급하기로 하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곧이어 간 곳은 조선 11대 왕 중종의 계비였던 장경왕후가 묻힌 희릉.
희릉의 정자각으로 이어진 참도를 찍었다.

참도는 아무나 걸어다닐 수 있는 길이 아니라
왼쪽으로 보이는 넓은 길은 '신도'라 하여 귀신이 다니는 길이고,
오른쪽의 좁은 길은 '어도'라 하니 제사 지내러 온 임금이 다니는 길이었던 듯하다.

신도는 신로, 어도는 인로라고도 부른다는데,
굉장히 경건한 길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함부로 걸어다니면 안 된단다.
능을 지키고 제사를 주관하는 능참봉조차 풀밭으로 다녀야 한다고 한다.

저 길을 가로지를 때에도 목례를 하고 가로지르는 것이 예의.
그러고 보니 우리는 전통 예절을 참 홀대하고 살았다.
경건한 마음가짐이란 게 스스로를 자만하지 않게 하니 해가 될 건 없을 것 같은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자각의 아름다운 단청.
새로 칠한 듯 보이지 않아서 특히 마음에 들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정자각 옆에는 이렇게 두 개의 계단이 있는데,
홍살문에서 이어진 참도의 두 길 중에서
신도는 난간 장식이 있는 왼쪽 계단으로,
어도는 난간 장식이 없는 오른쪽 계단으로 이어지게 되어 있다.

왼쪽 계단은 신계(神階), 오른쪽 계단은 (東階)라고 부르는데,
신계는 말 그대로 선왕의 영혼, 즉 귀신이 오르는 계단이고,
동계는 제사 지내는 임금이 오르는 계단이다.

아이러니하게도 반대편에는 신계가 없이 임금이 내려오는 계단만 있었다.
찾아보니 이를 서계(西階)라고 하는데,
이는 선왕의 영혼이 다시 내려올 일이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쨌든 제사를 올리기 전에는 동쪽으로 들어가서
제사를 마치면 서쪽으로 나오는 것이 예법이라고 한다.
이는 사가에서도 마찬가지라고 하는데 처음 알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희릉 정자각 옆의 비각.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각 안에는 비석과 비문을 해석한 안내판이 있었다.

이 비문을 보면서 문득 왜 장경왕후는 중종과 같이 묻히지 못하고
외롭게 혼자 묻혀 있는 것일까... 의아하게 생각됐다.

내가 "아마 중종은 문정왕후랑 같이 묻혀 있나 보지." 했더니
친구 왈, "아냐, 문정왕후도 따로 묻혀 있어." 한다.
그러면서 우리의 수수께끼 같은 추론이 시작됐다.
친구는 중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사랑했던 부인 신씨랑 묻히기를 소원했나 보다고 했다.
신씨는 왕비도 되지 못했으니 결코 왕이랑 같이 묻힐 리 없다고 반박했다.
친구는 문정왕후가 너무 못돼서 남편조차도 꼴보기 싫으니 다 따로 묻어 달라고 했나 보다..고 했다.
ㅋㅋㅋㅋ..
우린 막 웃으며 나중에 사연을 찾아보자고 했다.(결국 답을 모른 채..ㅎㅎ;;)

찾아보니, 역시 문정왕후의 입김 때문이었다.
본래 중종이 장경왕후와 함께 희릉에 묻혀 있었는데,
문정왕후가 자기가 다니던 봉은사 옆의 정릉으로 중종의 능을 이장하고
그 옆에 자기의 묘자리를 봐두었다고 한다.
그런데 정릉에 물난리가 자주 나서 재실에 물이 자주 들어가자
결국 문정왕후는 현재의 태릉에 묻히게 된 것이다.
이에 대해 글에서는,
"살아생전 부인을 셋씩이나 두고서도 죽어서는 하나도 곁에 두지 못한 중종"이라고 했다.
그러고 보니 조금 안쓰럽다는 생각도 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서삼릉의 곳곳을 구경했다.
사람이 북적이지 않고 고즈넉해서
능이란 곳이 참 좋은 곳이구나.. 생각하게 됐다.

어딜 가든 사람이 북적이고, 음식점이 들끓어서
운치라고는 조금도 맛볼 수가 없는데,
죽은 이가 묻힌 곳인데도 능은 한적하고 따사롭고 마음이 편해지니 신기한 일이다.
사긴, 해가 잘 드는 양지바른 곳에 최고의 기운을 가진 명당 자리에 능이 서 있으니
이곳이야말로 죽은 이뿐 아니라,
산 사람에게도 마음 편한 곳인지도 모른다.
대학 다닐 때에도 건립자 무덤이 가장 좋은 휴식 장소였던 기억을 되살려보면.. ^^;;

덕분에 많은 것을 느끼고 배웠다.

참고로, 서삼릉에는 비공개의 묘가 몇 개 있다.
조선 제12대 왕인 인종과 그의 비 인성왕후의 능,
인조의 맏아들인 소현세자가 묻힌 소경원,
그리고 능은 아니지만 이곳에 조선 왕실의 왕자와 공주의 태를 모아둔 태실이 있다고 한다.

살아생전, 또는 사후에 후손이 몰락한 이들의 능은 훼손이 심해서 차마 공개하지 않는 것이다.
문정왕후로 왕가가 이어지면서 인종의 능은 방치되어 버린 게 분명하다.
한때 임금이었으나 쫓겨나 지위를 잃은 광해군이나 연산군의 능은 더하다.
공동묘지 같은 데 안치되어 초라한 봉분 앞에 비석 하나 딸랑 서 있으니
위세를 부리는 정재계 실력자들의 조상 묘가 훨훨 그럴싸하다.
반대로 살아생전에 비참한 말로를 겪었더라도
아들이 왕위를 이은 경우에는 다시 추존을 하기 때문에 왕릉의 위용을 갖추게 된다.
정조에 의해 장조로 추존된 사도세자의 능이 그렇다.
이런 걸 보면 무덤은 역시 산 자를 위한 것이라는 생각이 더욱 강해진다.

그렇게 서삼릉을 나왔다.

Response : ,